착한가격업소 페이백 신청방법 총정리 바로가기
서울시가 물가 부담 완화를 위해 운영 중인 착한가격업소 페이백은 지정 업소에서 서울사랑상품권으로 결제하면 결제액의 10%를 다음 달에 돌려주는 소비자 환급형 이벤트입니다. 2025년 10월 20일 00:00부터 12월 31일 23:59까지(한국표준시, UTC+09:00) 진행되며, 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될 수 있습니다. 본 글에서는 참여 조건, 준비물, 신청 절차, 유의사항과 함께 빠르게 성공적으로 환급을 받는 팁까지 하나씩 안내해 드리겠습니다.

1. 착한가격업소 페이백, 핵심만 빠르게 이해하기
- 대상 : 서울시 전역에 지정된 약 1,880개 착한가격업소에서 결제한 시민 누구나
- 결제 수단 : 자치구 발행 서울사랑상품권(광역권 제외). 앱은 서울페이플러스 이용
- 환급률 : 결제금액의 10%
- 환급 시점 : 익월 10일 이내 서울사랑상품권으로 지급(검증 완료 기준)
- 한도 : 1인당 월 최대 5만원까지 페이백 가능
- 기간 : 2025-10-20 00:00 ~ 2025-12-31 23:59 (KST), 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
핵심은 착한가격업소에서 자치구 발행 서울사랑상품권으로 결제하고, 영수증 인증을 정해진 방식대로 제출하는 것입니다. 광역권 상품권이나 비대상 업소 결제는 환급 대상이 아닙니다.
2. 참여 전 준비물 체크리스트
- 서울페이플러스 앱 설치 및 회원/본인인증 완료
- 자치구 발행 서울사랑상품권 잔액 확보(필요 시 사전 구매). 일부 구는 별도 페이백 이벤트가 존재할 수 있어 합산 혜택 점검
- 착한가격업소 확인 : 서울시 물가정보 누리집 또는 행정안전부 착한가격업소 누리집에서 업소 지정 여부 확인
- 영수증 파일 : 결제 후 서울페이플러스 앱에서 이용내역 영수증 파일을 내려받아 보관
- 구글폼/신청서 접속 : 서울시 공식 이벤트 안내에서 제공하는 신청 경로로 접속해 제출
특히 자치구 발행 상품권인지, 결제 전 방문 업소가 착한가격업소인지가 가장 중요합니다. 매장 입구의 표찰·스티커 또는 공식 누리집 조회로 확정하세요.

3. 결제부터 환급까지: 5단계 실제 신청 절차
- 1단계 – 가맹점 찾기 : 서울페이플러스 앱 > 가맹점 찾기 > ‘착한가격업소’ 선택 후 내 주변 검색
- 2단계 – 결제 : 해당 업소에서 자치구 발행 서울사랑상품권으로 결제(광역권 제외)
- 3단계 – 영수증 확보 : 서울페이플러스 앱에서 이용내역의 영수증 다운로드
- 4단계 – 신청서 제출 : 공식 안내의 이벤트 신청(구글폼) 경로로 접속 → 기본 정보 입력 → 영수증 파일 첨부 후 제출
- 5단계 – 환급 수령 : 검증 완료 시 익월 10일 이내 결제금액의 10%가 서울사랑상품권으로 자동 지급
서류 반려를 막으려면 영수증 파일은 결제 일시·금액·가맹점명이 식별 가능해야 하며, 타인 명의 결제·기간 외 영수증·비대상 업소/상품권 건은 불인정됩니다.
4. 헷갈리기 쉬운 유의사항 Q&A
Q1. 광역권 서울사랑상품권도 되나요?
안 됩니다. 페이백 대상은 자치구 발행 서울사랑상품권입니다. 결제 전 상품권 종류를 반드시 확인하세요.
Q2. 같은 달에 여러 번 신청하면요?
가능하지만 월 최대 5만원 한도 내에서만 지급됩니다. 여러 건을 합산해도 월별 상한을 넘길 수는 없습니다.
Q3. 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된다는데, 제출은 언제까지 해야 하나요?
행사는 12월 31일(화) 23:59까지로 공지되어 있으나 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될 수 있습니다. 사용일자가 기간 내라 하더라도, 예산 상황에 따라 지급이 제한될 수 있으니 결제 직후 바로 신청서를 제출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
Q4. 추가 페이백(행사 중복)도 가능한가요?
기간 중 별도의 자치구 페이백 또는 특정 기간(예: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) 추가 5% 같은 보강 혜택이 공지될 수 있습니다. 다만 조건·대상·지급일이 다르므로 공식 공지를 확인해 주세요.

5. 환급을 확실하게 받는 실전 팁
- 결제 전 최종 점검 : (1) 업소가 착한가격업소인지 (2) 자치구 발행 상품권인지 (3) 이벤트 기간/예산 상황
- 영수증 파일 보관 : 캡처가 아닌 앱에서 내려받은 정식 영수증을 첨부하면 반려 위험이 낮습니다.
- 신청 즉시 제출 : 사용 직후 구글폼 제출까지 완료하면 누락·분실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.
- 월말 분산 결제 : 월 상한(5만원)을 고려해 결제를 분산하면 누적 효율이 좋아집니다.
- 자치구 보강 혜택 체크 : 구 단위 페이백이나 상품권 추가 할인 공지가 있으면 합산 혜택이 커질 수 있습니다.
6. 바로가기: 공식 안내·상담 창구
출처 : 서울특별시 내 손안에 서울 / 서울시 물가정보 누리집 / 행정안전부 착한가격업소
'리나의정보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국립경주박물관 관람 코스 추천 (0) | 2025.11.20 |
|---|---|
| 블랙프라이데이 2025 준비 체크리스트 (0) | 2025.11.18 |
| 유효기간 지난 기프티콘 환불, 100% 받는 법 (0) | 2025.11.10 |
| 건강보험료 환급 신청방법 한눈에 정리 & 바로가기 (0) | 2025.11.06 |
| 가을 단풍과 함께 걷는 ‘남산둘레길’ 풀코스 여행정보 & 지도출력 (1) | 2025.11.04 |